본문 바로가기
발달정신병리학

냉혈/무감각한 특성과 청소년 정신병질자(계속)

by SIRASONY 2022. 7. 6.

냉혈/무감각한 특성과 청소년 정신병질자(계속)

또한 에릭은 감정이입이나 후회의 기색이 전혀 없었으며, 이는 정신병질자의 또 다른 특징이다. Hare와 그의 팀은 에릭이 밴을 털어서 처벌받은 것에 대한 반응을 읽은 뒤에 자신들의 진단을 확신할 수 있었다. 상담과 커뮤니티 서비스 등 다양한 전환프로그램에 참여한 뒤에 두 살인자는 조기 석방을 위해 거짓으로 참회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에릭은 수행의 기회를 즐기는 듯했다. 그는 희생자들에게 공감과 후회, 이해를 전달하는 편지를 쓰면서 동시에 자신의 일기에 자신의 실제 감정을 적었다. “미국은 자유의 나라가 아니야? 내가 자유라면 어째서 그 바보 같은…... 을 가질 수 없는 거야? 그것도 금요일 밤에 밴의 앞자리에 멀쩡히 보이도록 내어놓은 것을 말이야…”

요약하면 에릭과 같은 과대망상, 경멸, 감정이입의 결여, 경박함, 우월감의 패턴이 Hare의 정신병질자 체크리스트에서 체크포인트가 된다. Hare는 평범한 반사회적 행동과 정신병질자들은 발달의 원천이 다르다고 믿는다. 예를 들어, 정신병질자가 아닌 반사회적 행동자는 아동기의 어려움으로 예측이 가능하지만 예측이 가능하지 않다. 이 때문에 Hare는 정신병질자가 선천적인 기질에서 오는 것이 아닌가 의심한다. 예를 들어, 뇌 스캔 이미지를 보면 정서를 처리하는 데 있어 정신병질자는 그렇지 않은 사람과 다르게 나타난다. 보통 사람들은 “사랑”처럼 정서적으로 의미 있는 정보를 처리할 떄 전두엽이 활성화되고, 이는 정보가 깊은 수준에서 처리되며 다수의 복잡한 연결이 만들어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대로 “전등”과 같이 정서적 관련성이 거의 없는 단어들의 처리는 전두엽의 활성화와 관계가 없다. 그러나 정신병질자들은 정서적이거나 관계와 관련된 단어들을 처리할 떄도 마치 무생물에 대한 단어를 처리할 때와 같이 얕은 수준에서 처리가 된다. 결과적으로 Hare의 가설은 정신병질자의 경우, 뇌의 회로 형성에 그 원인이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것이다.

아동들도 정신병질자가 될 수 있는가? 이 분야의 연구자들은 정신병질이라는 용어를 아동들에게 사용하는 것을 꺼린다. 알다시피 이 용어는 고정되고 변화하기 힘든 성격적 패턴을 시사하는 데 비해 아동들의 성격은 아직 형성 중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신병질과 유사한 특성들이 lynam이 “풋내기 정신병질자”라고 부른 일군의 청소년들에게서 발견된다는 증거들이 축적되고 있다. 예를 들어 Frick과 동료들은 정신병질자 체크리스트라고 하는 정신병질자들의 특성을 밝혀내는 hare의 도구의 아동 판을 만들었다. Hare의 성인 연구에서처럼, Frick과 동료들도 두 개의 분리된 행동 차원을 발견했으며 그중 하나는 반사회적 행동과 관계되는 것으로 충동적/품행 문제이고 다른 하나는 무감각-무정서 특성을 반영한다. 

냉혈/무감각한 특성과 청소년 정신병질자(계속)

또한 에릭은 감정이입이나 후회의 기색이 전혀 없었으며, 이는 정신병질자의 또 다른 특징이다. Hare와 그의 팀은 에릭이 밴을 털어서 처벌받은 것에 대한 반응을 읽은 뒤에 자신들의 진단을 확신할 수 있었다. 상담과 커뮤니티 서비스 등 다양한 전환프로그램에 참여한 뒤에 두 살인자는 조기 석방을 위해 거짓으로 참회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에릭은 수행의 기회를 즐기는 듯했다. 그는 희생자들에게 공감과 후회, 이해를 전달하는 편지를 쓰면서 동시에 자신의 일기에 자신의 실제 감정을 적었다. “미국은 자유의 나라가 아니야? 내가 자유라면 어째서 그 바보 같은…... 을 가질 수 없는 거야? 그것도 금요일 밤에 밴의 앞자리에 멀쩡히 보이도록 내어놓은 것을 말이야…”

요약하면 에릭과 같은 과대망상, 경멸, 감정이입의 결여, 경박함, 우월감의 패턴이 Hare의 정신병질자 체크리스트에서 체크포인트가 된다. Hare는 평범한 반사회적 행동과 정신병질자들은 발달의 원천이 다르다고 믿는다. 예를 들어, 정신병질자가 아닌 반사회적 행동자는 아동기의 어려움으로 예측이 가능하지만 예측이 가능하지 않다. 이 때문에 Hare는 정신병질자가 선천적인 기질에서 오는 것이 아닌가 의심한다. 예를 들어, 뇌 스캔 이미지를 보면 정서를 처리하는 데 있어 정신병질자는 그렇지 않은 사람과 다르게 나타난다. 보통 사람들은 “사랑”처럼 정서적으로 의미 있는 정보를 처리할 떄 전두엽이 활성화되고, 이는 정보가 깊은 수준에서 처리되며 다수의 복잡한 연결이 만들어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대로 “전등”과 같이 정서적 관련성이 거의 없는 단어들의 처리는 전두엽의 활성화와 관계가 없다. 그러나 정신병질자들은 정서적이거나 관계와 관련된 단어들을 처리할 떄도 마치 무생물에 대한 단어를 처리할 때와 같이 얕은 수준에서 처리가 된다. 결과적으로 Hare의 가설은 정신병질자의 경우, 뇌의 회로 형성에 그 원인이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것이다.

아동들도 정신병질자가 될 수 있는가? 이 분야의 연구자들은 정신병질이라는 용어를 아동들에게 사용하는 것을 꺼린다. 알다시피 이 용어는 고정되고 변화하기 힘든 성격적 패턴을 시사하는 데 비해 아동들의 성격은 아직 형성 중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신병질과 유사한 특성들이 lynam이 “풋내기 정신병질자”라고 부른 일군의 청소년들에게서 발견된다는 증거들이 축적되고 있다. 예를 들어 Frick과 동료들은 정신병질자 체크리스트라고 하는 정신병질자들의 특성을 밝혀내는 hare의 도구의 아동 판을 만들었다. Hare의 성인 연구에서처럼, Frick과 동료들도 두 개의 분리된 행동 차원을 발견했으며 그중 하나는 반사회적 행동과 관계되는 것으로 충동적/품행 문제이고 다른 하나는 무감각-무정서 특성을 반영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