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석심리학3

자아의 탄생 자아의 탄생 - 이것은 엄청난 일이다. 에번스가 오토 랑크의 출생 외상을 예를 들어 랑크가 생각했듯이 이런 외상이 자아의 성장에 내내 어떤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을 할 때 융은 이런 뜻의 대답을 하였다. “자아가 태어났다는 것은 자아에 대하여 대단히 중요한 일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그것은 고도로 외 상적입니다. 만일에 당신이 하늘에서 떨어졌다고 생각해 보시오. 에번스의 질문은 대단히 유치한 것이어서 융이 ‘출생외상’을 글자 그대로 믿느냐의 여부에 쏠려 있었다. 모든 사람이 태어나며, 태어나지 않은 심리학을 볼 수 없다. 그것은 어떠한 존재에서도 볼 수 있는 일반적인 사실이므로 “이것이 외상이다”라는 식으로 말하는 것은 잘못이라는 것이 그의 대답이었다. 의식은 무의식의 산물이다. “그것은 격렬한.. 2022. 7. 30.
자아와 의식 자아와 의식 무의식을 바다에 비유한다면 의식은 자그마한 섬과 같다. 의식은 우리의 정신의 모든 것을 대변하지 않으며, 그것은 극히 자그마한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자아란 그 자그마한 일부의 중심이다. 그래서 그것을 많은 콤플렉스 가운데의 하나로 보고 이를 자아 콤플렉스라 부른다. 자아. 콤플렉스는 의식의 내용을 이루는 동시에 의식이 의식일 수 있는 조건이기도 하다. 의식되어 있다는 것은 어떤 심리내용이 자아 콤플렉스와 관계를 맺는 한 가능하기 때문이다. ‘심리내용의 자아와의 관계성’이 자아에 의해서 인지되지 않으면 그것은 의식이 아니고 무의식적이다. 의식이란 그러므로 자아에 대한 심리적 내용의 관계를 유지하는 기능이며 활동이다. 의식이란 마치 피부와 같은 표면이다. 그 밑에 끝없는 미지의 영역이 있다. .. 2022. 7. 30.
마음의 구조와 기능 마음의 구조와 기능 분석심리학에서는 인간의 마음이 고정 불변한 여러 개의 요소로 구성되어 그것이 마치 하나의 복잡한 기계처럼 어떤 일정한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라고 보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인간 심리에 대한 지나친 기계론적 설명은 아직 그 깊이를 측정할 수 없는 정신의 영역을 몇 가지 단순한 개념의 울타리 속에 가둠으로써 그것이 가지고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박탈하고 말기 때문이다. 그러나 융 자신도 말했듯이 주관적 경험적 방법에 의한 심리 학설에 있어서는 개념이 그의 학설을 대변하는 유일한 근거가 되기 때문에 이것을 만들지 않을 수 없고 그 개념의 의미와 전제를 명확히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므로 마음의 특성을 설명하는 데도 각기 그 특징을 이정한 말로 표현하게 되는 것은 물론이다. 그러나 중요한 것.. 2022. 7.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