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9

마음의 구조와 기능 마음의 구조와 기능 분석심리학에서는 인간의 마음이 고정 불변한 여러 개의 요소로 구성되어 그것이 마치 하나의 복잡한 기계처럼 어떤 일정한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라고 보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인간 심리에 대한 지나친 기계론적 설명은 아직 그 깊이를 측정할 수 없는 정신의 영역을 몇 가지 단순한 개념의 울타리 속에 가둠으로써 그것이 가지고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박탈하고 말기 때문이다. 그러나 융 자신도 말했듯이 주관적 경험적 방법에 의한 심리 학설에 있어서는 개념이 그의 학설을 대변하는 유일한 근거가 되기 때문에 이것을 만들지 않을 수 없고 그 개념의 의미와 전제를 명확히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므로 마음의 특성을 설명하는 데도 각기 그 특징을 이정한 말로 표현하게 되는 것은 물론이다. 그러나 중요한 것.. 2022. 7. 29.
방임 방임 정의: 방임(neglect)의 정의는 양육자가 제공해야 하는 아동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 교육, 영양, 주거, 안전한 생활 조건들을 보장하지 못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임은 가해 행위 라기보다는 태만 행위이며, 따라서 감지되기 어려울 수 있다. 가령, 수많은 “사고”에 따른 사망과 상처는 아동을 보호하지 않고 방치하였기 때문에 발생하는데, 이것이 방임의 결과일 수 있다. 2세 이하의 어린 영아에게서 가장 빈번하게 탐지되는 유형의 방임을 성장 실패(failure to thrive)라고 부르는데, 이것은 부적절한 열량 섭취로부터 초래되는 심각한 성장의 지연이다. 유병률 및 아동의 특징: 방임은 미국에서 가장 흔한 유형의 학대이며, 보고된 모든 사례의 58%에 달한다. 최근 국가적 조사에서 Finkelh.. 2022. 7. 29.
신체학대(정의 및 특성) 신체학대(정의 및 특성) 신체학대는 실제로 혹은 잠재적으로 아동에게 신체적 손상을 가져오며, 그런 행동을 이성적으로 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는 양육자에 의해 가해지는 행위를 포함한다. 신체학대는 지속적인 신체적 손상을 이끄는 심각성과 잠재성에 따라 그 범위가 넓다 상처는 타박상이나 자상과 같이 상대적으로 미약한 것일 수도 있고, 뇌 손상, 내장 상해, 화상, 열상과 같이 심각한 것일 수도 있다. 신체 학대의 희귀한 형태 중 하나는 뮌하우젠 증후군인데, 이는 부모가 아동의 신체적 질병을 꾸미거나 심지어는 만들어내서 아동이 반복적이고 불필요한 의료 절차를 받게 함으로써 심리적 혹은 신체적 손상에 이르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유병률: 아동학대 유병률은 연구마다 다른 정의와 이에 대한 측정치가 다르기 때문.. 2022. 7. 28.
비교문화적 및 민족적차이(계속) 이번에는 국제연합아동기금(UNICEF)에서 산업화한 국가에서 학대로 인한 아동의 사망률에 대한 자료를 보고했는데 스페인에서는 100000명 중 0.1명이, 멕시코와 미국에서는 100000명 중 2.2명의 아동이 이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그들의 추정에 따르면 학대와 방임으로 독일과 영국에서는 매주 2명이, 일본에서는 4명이, 그리고 미국에서는 27명의 아동이 죽어가고 있다. 가난과 아동학대 간의 관련성은 미국, 멕시코, 인도, 방글라데시, 영국을 포함한 많은 나라에서 입증되어 왔다. 표에서 제시한 예처럼 당국에서 보고된 비율은 문화마다 매우 다르다. 이러한 차이가 서로 다른 정의와 용인 수준으로 인한 것인지, 실제 빈도의 차이를 반영하는 것인지, 지금으로서는 아직 알 수 없다. 그러나 한 가지 심각하게 고.. 2022. 7. 28.